자본주의 사회에서 살아남자/배당 정보

두나무(업비트) 2025년 및 과거 배당 정보

시원한생맥주 2025. 4. 3. 09:00

 

 

 

 

두나무는 2012년 4월에 설립된 핀테크 및 블록체인 전문 기업으로, 국내 최대 디지털 자산 거래소인 '업비트'와 소셜 트레이딩 기반 주식 플랫폼 '증권플러스', 비상장 주식 통합거래 플랫폼 '증권플러스 비상장' 등을 운영하고 있다.

 

 

두나무 배당 정보
두나무 배당 정보

1. 주요 서비스

  • 업비트: 2017년 10월에 출시된 국내 최대 규모의 디지털 자산 거래소로, 안전하고 투명한 거래 환경을 제공한다.
  • 증권플러스: 2014년 2월에 출시된 모바일 기반의 종합 투자 플랫폼으로, 상장 주식의 거래를 지원한다.
  • 증권플러스 비상장: 2019년 11월에 출시된 비상장 주식 통합거래 플랫폼으로, 비상장 주식의 안전한 거래를 지원한다.

 

2. 최근 동향

 

두나무는 2025년 3월 27일 주당 8,777원의 현금 배당을 발표하였으며, 이는 전년도 대비 약 3배 증가한 금액이다. 이러한 배당 확대는 가상자산 시장의 호황으로 인한 실적 개선에도 불구하고 주가 상승이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또한, 2025년 4월 1일 기준으로 비상장 주식 거래 플랫폼인 '증권플러스 비상장'에서 두나무의 주가는 157,000원을 기록하였다.

한편, 두나무는 비상장 주식 거래 시장에서의 독점적 지위와 관련하여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를 받고 있다. 이는 자사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 거래 유도 효과와 경쟁 제한 여부에 대한 조사로, 향후 결과에 따라 신사업 추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두나무는 이러한 도전과 혁신을 통해 핀테크와 블록체인 분야에서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가고 있다.

 

 

3. 배당금 정리

두나무는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기업으로, 2017년부터 주주들에게 꾸준히 배당을 실시해 왔다. 아래는 2017년부터 2025년까지의 두나무 배당 내역을 연도별로 정리한 표다. 직접 두나무 홈페이지에 공시된 사업보고서를 보고 작성하였다.

 

구분 결산월 배당기준일 배당일 총 배당금(억 원) 주당 배당금(원)
제 6기 결산배당 2017년 12월 2017년 12월 31일 - - -
제 7기 결산배당 2018년 12월 2018년 12월 31일 - - -
제 8기 결산배당 2019년 12월 2019년 12월 31일 - 100 313
제 9기 결산배당 2020년 12월 2020년 12월 31일 - 200 594
제 10기 결산배당 2021년 12월 2021년 12월 31일 2022년 4월 27일 2,000 5,768
제 11기 결산배당 2022년 12월 2022년 12월 31일 2023년 4월 26일 700 2,033
제 12기 결산배당 2023년 12월 2023년 12월 31일 2024년 4월 25일 1,000 2,937
제 13기 중간배당 2024년 09월 2024년 09월 10일 2024년 10월 7일 1,000 2,932
제 13기 결산배당 2024년 12월 2024년 12월 31일 2025년 04월 3,000 8,777

 

2017년부터 2020년까지의 배당

두나무는 2017년, 2018년은 사업보고서에서 정확한 금액을 확인할 수 없었고, 2019년에 총 100억 원 규모에 주당 313원, 2020년엔 총 200억 원 규모에 주당 594원의 배당금을 지급했다.

 

2021년 배당 내역

2021년, 두나무는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하며 총 2,000억 원, 주당 5,786원의 배당금을 지급하였다. 이는 이전 연도 대비 큰 폭의 증가로, 회사의 실적 향상을 주주들과 공유한 결과다.

 

2022년 배당 내역

2022년에는 결산배당으로 총 700억 원, 주당 2,033원을 지급하였으며, 이는 전년도 대비 감소한 수치로, 시장 상황과 회사의 실적에 따른 결정이었다.

 

2023년 배당 내역

2023년에는 결산배당으로 총 1,000억 원, 주당 2,937원의 결산배당을 실시하였다. 

 

2024년 배당 내역(중간배당)

2024년 9월, 두나무는 총 1,000억 원 규모의 중간배당을 실시하였다. 주당 배당금은 2,932원으로 책정되었으며, 이는 발행주식 총수 3,484만 4,198주에서 자기 주식 74만 6,897주를 제외한 3,409만 7,391주에 대해 지급되었다. 중간배당 기준일은 9월 10일이었으며, 배당금은 한 달 내에 주주들에게 지급되었다. 이러한 배당은 상반기 매출 7,771억 원, 영업이익 5,153억 원의 실적 개선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반등하지 못하자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결정된 것으로 보인다.

 

2024년 배당 내역(결산배당)

2025년 3월 주주총회에서 주당 배당금을 전년 대비 약 3배 증가한 8,777원으로 결정하였으며, 총배당금은 약 3,000억 원에 달한다. 이는 역대 최대 규모의 배당으로, 가상자산 시장의 호황으로 인한 실적 개선에도 불구하고 주가 상승이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이처럼 두나무는 매년 꾸준한 배당을 통해 주주들과 이익을 공유하고 있으며, 가상자산 시장의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주주환원을 이어가고 있다.

 

 

 

 

 

4. 두나무 주주로서의 생각

2021년도 1주당 50만 원이 넘던 고점 시기부터 주주였던 나는 -85~90%에 달하는 주식 가격에서도 추가매수를 하며 버텨왔다. 수익률이 좋지 않음에도 정리하지 않고 주주로서 버텨온 이유는 두나무의 장래성과 나스닥 상장 가능성, 그리고 생각보다 준수한 배당률에서 비롯되었다. 주가 기준 연 4%의 배당률 정도는 나왔으니까 은행 예금보다야 항상 나았던 듯하다.

두나무는 이미 나스닥 상장 준비는 다 되었고 이제 좋은 기업가치평가를 받을 때를 기다린다고 했으니 나도 그냥 이대로 쭉 믿고 기다리면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