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한루프/직장, 프리랜서 5

프리랜서와 계약직 근로자의 고용보험, 프로젝트 종료 시 실업급여 받을 수 있을까?

최근 몇 년 간 일하던 프로젝트가 종료되었고 연장이 불가피한 상황이라 어쩔 수 없이 잠시 일을 쉬게 되었다. 곧 다른 프로젝트를 구해서 들어갈 예정이라 무심코 넘어갔던 부분이 있었는데 그게 바로 고용보험의 퇴직사유에 관한 것.내가 스스로 퇴사한 게 아닌 프로젝트 기간 만료로 인한 계약 종료인데 회사 측에선 마음대로 자진퇴사로 처리한 것이다. 지금 회사에 요청해서 정정요청을 해놓은 상태.이게 중요한 이유는 고용보험은 한 회사에만 해당하는 게 아니라 다음 회사 다음 프로젝트의 기간도 합산되어서 처리되기 때문이다. 최근 고용보험의 강화로 인해 근무기간이 점점 중요해지는데 이런 걸 놓쳐선 안된다.이번 경우를 겪으면서 다시 한 번 프리랜서, 계약직 고용보험 글을 정리해 본다. 최근 몇 년 사이, 고용 형태가 다..

2025년 프리랜서의 종합소득세 신고 가이드: 3.3% 원천징수 대상자를 중심으로

목차프리랜서와 종합소득세 개요3.3% 원천징수의 의미와 적용 대상종합소득세 신고 대상 및 기간소득 유형별 신고 방법필요 경비와 소득공제 항목신고 절차 및 방법주의사항 및 가산세 방지절세를 위한 팁과 전략사업자 등록의 필요성4대 보험과 프리랜서기한 후 신고 및 수정 신고 방법세무 대행 서비스 활용 방안자주 묻는 질문(FAQs)결론 및 요약         1. 프리랜서와 종합소득세 개요 프리랜서는 고정된 소속 없이 독립적으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소득을 창출하는 개인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프리랜서는 근로소득자와 달리 소득이 원천징수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매년 본인이 직접 종합소득세를 신고하고 납부해야 합니다. 이는 소득세법에 따라 연간 총소득을 합산하여 신고하는 의무를 가지며, 이를 누락할 경우 가산..

개발자의 불안, 당신만 그런 것은 아니다

티스토리에 올릴 글을 정리하다가 아주 재밌는 걸 발견했다.네이버 블로그에 내가 포스팅 해놓은 내용인데 아래의 칼럼을 첨부해 놨다.  https://v.daum.net/v/20140527083007410 개발자의 불안, 당신만 그런 것은 아니다해커뉴스(Hacker News)를 통해 흥미로운 글을 읽었다. 애덤 컬프라는 사람이 쓴 "개발자의 불안, 당신만 그런 것은 아니다(Developer Anxiety, we're not alone)"라는 제목의 글이다. 컬프는 남부플로리다에서v.daum.net 제목은 개발자의 불안, 당신만 그런 것은 아니다. 2014년에 나온 칼럼이다.칼럼의 내용을 일부 보자면 아래와 같다.그는 밝고 강건하게 보이는 프로그래머 친구 한 명과 대화를 나누다가 그의 내면에 깊은 불안과 근심..

임금 체불 시 대처 방법

가장 좋은 건 애초에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는 것!미리미리 예방하자는 차원에서 임금 체불 업체인지 확인을 먼저 해보자. https://www.moel.go.kr/info/defaulter/defaulterList.do 고용노동부체불사업주 명단공개 고용노동부는 공개 기준일(매년 8월 31일)이전 3년 이내 임금등을 체불하여 2회 이상 유죄가 확정된 자로서 기준일 이전 1년 이내 임금 등의 체불 총액이 3천만원 이상인 체www.moel.go.kr 하지만 이러고도 피하지 못했다면... 어쩔 수 없이 다음 단계를 밟아야겠지.     임금 체불 시 대처 방법: 빠르게 해결하려면 이렇게 하자!직장에서 일을 마치고 임금을 기다리는데, 그동안 정해진 급여를 받지 못하는 상황은 정말 답답하고 스트레스를 줄 수 있습니다...

프리랜서의 고용보험, 그리고 실업 급여

최근 프리랜서와 계약직 근로자들이 사회적 안전망인 4대보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용보험은 고용 불안정성이 높은 프리랜서에게 중요한 제도인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용보험 가입과 관련한 정보가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프리랜서의 고용보험 가입에 관한 최신 정보와 4대보험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필요한 사항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4대보험이란?4대보험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을 말합니다. 이 제도들은 국민들이 생활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사회적 위험에 대비할 수 있도록 국가에서 공적으로 운영하는 시스템입니다. 각각의 보험은 관련 법률에 따라 운영되며, 근로자뿐 아니라 사업주도 일정 부분을 부담해야 합니다.4대보험 가입 대상4대보험은 정규직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