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 시간 시장을 들여다보면 자연스럽게 깨닫게 되는 것이 있다.
시장은 항상 오르내리지만, 특정한 순간이 오면 사람들의 반응이 반복된다는 점이다.
과거에도 그랬다.
미차솔 펀드나 미래에셋 인사이트펀드가 유행하던 시절,
리먼 브라더스 사태, 유럽 그리스 사태, 코로나 때도 마찬가지였다.
가장 최근엔 2022년 하반기.
변동성이 커지면서 투자자들의 곡소리가 들려오고, 계좌는 온통 파란불로 바뀐다.
뉴스에서는 연일 "금융위기", "외환위기", "대폭락" 같은 단어들이 등장한다.
이럴 때면 문득 이런 생각이 든다.
'슬슬 진입할 시기가 온 건가?'
최근 들어 시장이 시끌시끌해진 것 같아서 오랜만에 지수를 체크해 봤다.
- S&P 500, 나스닥 지수 : 고점 대비 10% 하락. 아직 별로 안 떨어졌는데? 20%는 떨어져야지.
- VIX 지수: 20~30 사이. 아직 기회는 오지 않았다. 못해도 30. 만약 40 이상이면 풀매수.
- Fear & Greed 지수: 20. 이 정도면 괜찮은 수준이다. 심리는 조금 더 안 좋네..
최근에 마지막으로 여유자금을 투입했던 시점은 2024년 8월, VIX 지수가 30을 넘어갔을 때였다.
당시 엔캐리 트레이드 이야기가 시장을 흔들고 있었고, 사무실에서도 불안해서 매도했다는 얘기가 들려왔다.
그래서 추매 하기 적절한 타이밍이라고 판단하고, 일부를 추가 매수했다.
그런데 바로 반등해 버려서 추가 매수 기회는 오지 않았다. 아쉽.....
아?! 그리고 최근에 시장이 공포에 질려있는지를 확인하는 또 다른 방법이 하나 더 생겼다.
네이버 카페 라오어 미국주식 무한매수법 & 밸류리밸런싱 카페에 가서 분위기를 살피는 것이다.
2022년에는 정말 분위기가 안 좋았다.
투자는 본인의 몫인데도 남 탓을 하는 사람들, 말 한마디 한마디에 예민한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로 분위기가 날카로웠다. 하지만 지금은 아직 다들 투자의 기회로 삼는 분위기다.
그렇다면 아직은 조금 더 기다려볼까나..
보통 VIX 지수가 40을 넘어가면 거의 100% 확률로 좋은 수익을 낼 수 있다고 한다.
Fear & Greed 지수를 활용하는 투자방법도 있다.
남들이 패닉에 빠졌을 때 여유자금을 투입하면 높은 확률로 좋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남들이 공포에 빠졌을 때 여유자금을 마련하는 게 쉽지 않다.
이미 다 물을 타버려서 더 이상 남은 예수금이 없기 때문에...;;
나도 몇 번이나 겪었던 일이고 그렇기에 지금은 분할 매수, 분할 매도를 하면서 장기 투자하려고 노력 중이다.
항상 어느 정도의 현금을 여유자금으로 마련해 놓고, 나머지는 전부 투자한다.
그렇게 하면 시장이 폭락하는 게 반가워진다.
오히려 조정 없이 쭉 오르면 별로 재미가 없달까...;
매수는 매도와 비교했을 때 조금 더 빈번하고
매도는 상대적으로 드물다.
다른 곳에 더 좋은 투자처가 있다 하면 그때 일부 매도해서 진입.
혹은 시장 분위기가 너무 과열됐다고 느끼면 일부 매도.
이 외엔 매도는 잘하지 않는다.
여기서 시장 분위기가 과열됐다고 느끼는 지점은
- 언론, 온라인, 가족, 친구, 회사에서 모두 같은 얘기가 나온다
- 내 계좌를 열어볼수록 기분이 좋아서 자꾸 보게 된다(?)
이 때는 최소 1/3 정도는 정리해서 현금화하려고 한다.
20년 시장에 항상 발을 담그고 있다 보니 자연스레 나만의 투자 방법을 깨닫게 되는 것 같다.ㅎ
이렇게 하면 계좌가 거의 항상 빨간불을 유지하기 때문에 시장이 출렁일 때도 불안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이 사이클을 여러 번 타다 보면 자산은 자연스레 불어나있다.
이 방법은 개인 투자자가 살아남는 방법 중 확률이 상당히 높다고 생각한다.
어디가 최고점이고 최저점인지는 몰라도 항상 시장에 발을 담그고 서두른 매매를 하지 않고 개인 투자자의 장점인 기간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다는 점.
지금은 아직 조금 더 지켜볼 생각이다.
시장이 흔들릴수록 기회도 커진다.
다만, 중요한 것은 공포에 휩쓸리지 않고 냉정하게 시장을 바라보는 것이다.
기다리다 보면 기회는 반드시 온다.
P.S. 이렇게 적고 보니 누가 보면 수십억 자산가인줄 알겠다;;
예전에 해외에 있으면서 모아놓은 돈을 탈탈 써버려 자산 초기화 된 적이 있는 덕에 가난하다.ㅋㅋ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아남자 > 시장 상황 분석,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국채, 트럼프 정책, 그리고 스테이블 코인의 전략적 연결고리 (1) | 2025.04.04 |
---|---|
미국 국채와 트럼프의 경제 정책: 2025년 관세 정책의 영향 분석 (1) | 2025.04.04 |
미국 10년물 국채 시장의 변화와 현재 상황 분석 (0) | 2025.04.03 |